목록리더십 (16)
Inuit Blogged
원제: Everything Leadership Book 학문중에서도 역사가 짧막한 경영학. 그중의 원류는 인사나 HR 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형식적 구조를 다루는 조직이론과 개인의 심리를 다루는 행동이론에서 공히 놓치고 있는 부분은 개인과 조직이 유기적으로 interaction하는 부분입니다. 따라서 현대 HR이론에서 빼놓지 않는 부분이 팀(team) 이론입니다. 팀 이론의 핵심은 리더의 리더십이고 그 대상은 개인의 만족과 조직의 성과를 담보하는 동기부여(motivation)이라고 개략화 할 수 있습니다. 말은 쉬우나, 우리는 종종 회사라는 맥락에서 리더십과 카리스마, 헌신과 나약, 성과와 결과 등등 수많은 개념을 혼동하며 지냅니다. 실제로 혼재되어 있기도 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어떤 사람이 막상 리더..
누드모델님이 제가 예전에 썼던 "Twisting Goog to Great"를 읽고 포스팅을 하셨더군요. ( http://seires.egloos.com/748505 ) 제 글이 함량미달의 글이라서 미안도 하고, 관심가져 주셔서 고맙기도 해서 트랙백 글을 씁니다. 글에서 밝힌 바와 같이, 제가 G2G를 아주 감명깊게 읽었고 당시 당면한 문제의 해결에도 많은 도움을 얻었습니다. 다만, 이미 좋은 평이 세상에 널린 터에 찬사를 하나 더하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나 싶기도 했고, 아주 bias가 심한 샘플에 대한 논의가 교조적으로 받아들여질까 해서 당시 제 홈페이지의 주독자들인 MBA들과 현실감각을 이야기해보고 싶어서 다소 뒤틀어본 것이라는 맥락을 먼저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1. 레벨5 리더십에 관해 실제로 레벨..
우리 회사 사장님은 장점이 많으신 분이고 그래서 배울 점도 많아 벤치마킹 대상이다. 여러 장점 중 하나는 사람을 다루는데 있어 최고의 경지라는 것이다. 전폭적인 신뢰와 적절한 견제. 세심한 배려와 범하기 힘든 권위. 알고도 모른척하기와 알기 힘든 일을 이미 알고 있기. -_- 이런 밸런싱이 최상급이라고 할까.. 아무튼 어제 후딱 후딱 일을 끝내고 선주형님이랑 맥주한잔 하러 나가려다가 사장님한테 붙들린 일은 밑에 글에 썼었고.. 업무 이야기 말고도 다른 여러가지 이야기를 해주셨는데 그 중 하나가 "감정없이 말하기"이다. 사실 사장님이 한번 화를 내면 불같아서 사장실 밖 사무실까지 분위기가 싸해질때가 있다. 또 그러고 나면 뒤끝이 전혀 없는게 장점이기도 하고 희한하다고 생각했었는데, 어제 그 비결을 말씀해 ..
오늘 직원의 결혼이 있어서 군산에 다녀왔지요. 버스를 대절했기에 편한 길이었습니다. 오가며 Jim Collins의 "Good to great"을 읽었습니다. 읽으며 얼마나 많은 영감을 얻었고, 삶의 용기를 다시 다졌는지.. 진정으로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요즘 찾고 있던 답에 대한 힌트도 얻었고.. 아무튼 만족도가 높았습니다. 다 읽고서 상사이신 이사님께도 한번 읽어보시라고 바로 전해드렸을 정도이니까요. 이책에 대한 좋은 평은 많으니까 여기까지만 하고.. 농담삼아 책의 내용을 좀 비틀어보겠습니다. ^^ 정리 1. 주위에 널린 것이 레벨5리더이다. 동양권, 특히 우리나라에 널린게 레벨5 리더이다. 만일 겸손하지 않고 나대는 성격이면 이미 제도권 교육에서 이미 정맞고 퇴출되었을 거다. ^^; 정도의 차이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