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1409)
Inuit Blogged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YLqyA/btrblQTv3kW/Y5xm5xVLoZcaAxHzoh32w1/img.jpg)
아이디어 1. 100달러 짜리 노트북. 즉석 네트워크(ad hoc), 수동 발전기, 저전력, 저가격, 힌지가 안테나가 되고 가방끈이 케이블이 되는 적정기술과 첨단 기술의 교점. 니그로폰테가 이 개념을 주창하고 나왔을 때 저는 정말 감탄하며 기대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망한 프로젝트가 되었죠. 아이디어 2. 구르는 물통 Q 드럼은 한번 쯤 봤을 정도로 유명합니다. 식수가 귀한 지역에선 어린 아이나 약자들이 수킬로를 걸어서 물을 길러 다닙니다. 물을 잔뜩 넣더라도 굴리기 때문에 쉽게 이동이 가능합니다. 수많은 지역의 여러 사람 삶을 개선했습니다. 둘 다 좋은 뜻을 가진 적정기술인데 차이가 큽니다. 왜 그럴지 막연한 궁금증이 들었습니다. 혹시 힌트가 있을까 집어든 책입니다. 책을 읽다 답이 어렴풋이 보입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I4iL0/btraCTkRxQc/QmeuFqDom6JICd4b1pKa61/img.jpg)
제가 글이나 강의에서 종종 말하지만, 경영 전략은 두가지 학파로 나눌 수도 있습니다. 포터나 김위찬으로 대변되는 포지션 파가 첫째입니다. 산업의 지형 내에서 경쟁에 유리한 입지를 어떻게 확보할지를 논합니다. 수많은 컨설팅 펌을 먹여살렸죠. 그 대척점엔 실행파가 있습니다. 이쪽의 만트라는 이렇습니다. 내가 뭘 할지 경쟁자에게 다 알려줘도 상관없다. 어차피 그들은 못 따라하기 때문이다. 전 비즈니스 스쿨에서 전략을 중점적으로 공부했기 때문에 전형적인 포지션 파로 출발했지만, 전략 임원 및 경영 임원을 오래하면서 인생은 실전.. 아니 실행파의 묵직함도 인정하고 존중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요즘엔 두가지 학파의 통합적 해석을 시도합니다. 초기 기업땐 포지션과 경쟁론을 염두에 두고 스케일업 단계에선 실행에 좀 더..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r4Qx3/btradS6OXTd/K2HFvkEDp6fueA6LnczCI0/img.jpg)
지금까지 살면서 가장 맛나게 먹은 고기는 무엇인가요? 더 나아가, 지금까지 먹은 고기 요리중 가장 진귀하거나 기이한 경험은 무엇인가요? 글 머리로 이 질문을 던지고 저도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맛난 고기 경험은 많습니다. 어떻게 기준을 세워 갈라야할지 생각해봐야 할 정도입니다. 하지만 특이한 육식 경험은 선뜻 떠오르지 않습니다. 어려서 종종 먹은 번데기, 어두운 레스토랑에서 칼 대자마자 피가 분출해 놀랐던 파리의 부댕, 도쿄 출장에서 먹은 말고기 육회 바사시. 우린 매일 무언가 고기를 먹지만, 막상 그 재료는 단순하고 표준적입니다.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생선이라는 범주 내에서 먹기 십상입니다. 평생의 육식 편력에 물음표를 던진 책입니다. 제목만 보면 채식주의의 교범처럼 느껴지나봅니다. 아내에게 '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Tu78o/btq9GsG6nnC/jld8ciznnAwaPaik10Rik0/img.jpg)
저만 그런지 모르겠지만, 우리나라 프로농구는 별로 재미를 못 느낍니다. 축구, 야구 심지어 배구도 재미난데 농구는 그냥 그렇습니다. 운동을 해봐도 그렇고, 미국 NBA의 엄청난 에너지와 화려함을 봐도 절대 농구 자체가 재미 없는 운동은 아닌데 말입니다. 이 부분에 대해, 인사이더인 하승진 선수 의견은 흥미롭습니다. "코트안에서 기술 부리면 선배나 감독한테 혼난다. 분위기가 강압적이고 창의적 플레이를 하면 욕만 먹는다. 게다가 선수단 분위기가 권위주의적이라, 부상이 있어도 그냥 달고 뛰어야해서 몸이 성한 선수가 없다." 이런 관점에서, 우리나라에도 반세기 전부터 이와 정 반대의 지도철학을 구현했던 사람이 있다는게 믿어지지 않습니다. 송도고등학교 코치 전규삼 이야기입니다. 당연히 저는 이 책을 통해 처음 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