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Review (637)
Inuit Blogged
책의 두께나, 식상한 제목이나, 뻔해 보이는 스토리라인으로 인해 전혀 관심이 없던 책이었다. 겅호!를 읽고 나서야, 같은 저자가 지은 팀웍에 대한 내용이라는 책옆구리 설명문구를 보고 선뜻 집고 읽게 되었다. 경영학적 분석은 좀 뒤로 미루고, 개인적으로 찬탄이 나올만큼 깔끔하게 쓴 책이다. 그렇다고, 뭐 스티븐 킹이나 시드니 셀던 같은 명문을 바랄까. 독자의 긴장을 늦추지 않고 이야기를 끌어가는 능력이나, 적당히 재미와 감동이 녹아 있고, 앞뒤가 어색하지 않게 꽉 짜여져 들어 맞는 것은 경영학을 업으로 하는 사람의 글 치고는 수작이라는 뜻이다. 내심, 건조한 경영학에 편벽되지 않고자 하는 내게 더욱 인상 깊은 탓일지 모르겠다. 게다가 이책은 한사람에 의해 저술되지 않은 팀 작업의 결과다. 팀작업으로 저술하..
처음 이책에 대해 들었을땐 제목이 차이니즈 풍이라서 큰 관심을 갖지 않았었고, 나중에 내가 멋대로 예상했던 것과 전혀 다르다는 것을 안 후에도 별로 손에 잡히지는 않던 책이었다. 막상 읽어보니 꽤 잘 쓴 책이다.내가 늘 고민하는 변화관리 (change management)에 관한 내용이라서 눈에 확 들어온 탓도 있지만, 구조적인 관점에서도 칭찬할 만하다.보통 경영학적 소재를 비유적 프레임으로 포장해서 만든 책이 많지만, 하나의 유행처럼 우격다짐으로 얽어 만든 책들이 많아서 마뜩치 않았던 점이 많았다. 딜리트도 그랬고 레밍 딜레마도 그랬고, 하고자 하는 내용은 잘 이해가 갔고 그런 비유체계를 사용하는 것도 수긍은 하겠지만, 핵심과 표현이 물과 기름마냥 떠도는 점이 마음에 걸렸었다.지금까지 본 중에 가장 완..
경제학의 진정한 가치가, 그 이름과는 달리 큰 돈을 벌거나 최소한 돈을 아끼는데 기여하지 않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실제로 주변의 여러 이코노미스트들을 보면 선비와 같은 느낌이 많이 난다. 부유하다기 보다는 삶에 대한 통찰을 통해 잘못을 보고 일갈할 수 있는 능력이 더 돋보이는..이 책은 경제학이라는 툴이 제공할 수 있는 분석이 어디까지 갈 수 있는지를 뽐내는 듯하다. 인과관계와 상관관계만 해도 그렇다. 90년대 미국의 범죄율 급감의 원인에 대해, 경제성장설, 경찰업무 혁신설 등 무수한 가설이 난무했지만 설명력이 미흡한 것을, 저자인 레빗은 먼 옛날 73년 낙태금지법의 완화로 인한 사회적 효과임을 데이터로 밝혀낸다. (블루오션에도 나왔던 빌 브래튼 뉴욕 경찰청장의 경찰업무 혁신은 적절한 타이밍에 우연히 깜..
어느날 갑자기 사무실로 배달된 책. 제목은 'The Shinhan Bank Way'. 웬 짝퉁이람.. 대충 제목을 들춰보니 신한은행 만세 이런 스토리였다. 일도 바쁜데 짜증스러워져서 쓰레기통으로 직행하려는 찰나, 혹시나 하는 마음에 발신인을 보니 절친한 후배. 연락한지도 오래되었고 반가운 마음에 전화를 했다. 후배가 말했다. 그동안 심혈을 기울여 만든 작품이라고.. 그탓에 연락도 잘 못했다고.. 정신의 자식같은 책이니까 버리지 말라고.. -_- 저자는 따로 있지만 책의 기획 및 자료수집부터 편집까지 고생을 많이 했던 모양이다. 그래서 책장에 꽂아놓고도 선뜻 손이 안가 한참을 묵히다가, 어느 하룻밤을 내어 읽어보았다. 책은 의외로 잘 읽히고 재미있었다. 예전에 신한은행은 녹색 로고시절에 재일韓商들이 만든 ..